달콤새콤 생활정보

케토락주 급할때 사용하는 진통제 본문

카테고리 없음

케토락주 급할때 사용하는 진통제

설탕밥 2022. 9. 28. 00:26

 

필자는 작년인 2021년도 코로나 백신 접종을 하고 근육통이 너무 심하게 와 타이레놀로 버티기 힘들어 병원 갔더니 케토락이란 주사를 놔주던 기억이 납니다. 오늘 주제는 케토락주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비마약성 진통제로 많이 사용하는 약이다 보니 한번 정도는 맞아 보신 분들이 계실 겁니다.

 

케토락주

이 약은 진통 소염제로 케토롤락트로메타민염을 사용하는 주사용수로 중증도 및 중증의 급성통증에 대한 단기 요법제로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지 못하는 수술 후의 통증에 보통 많이 처방되고 있습니다.

 

사용방법

2세 이상 부터 사용이 가능한 주사제로 성인과 소아는 처방되는 양이 다르기에 아래를 참고하여 확인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성인은 하루 90mg 초과, 소아는 6시간마다 0.5mg씩 체중 당 투여하되 2일을 초과하여 투약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투약금지 대상자

진통제의 특성상 이 약은 아래의 환자가 사용을 해 선 안되니 반드시 대상자 여부를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특히 임산부나 수유부는 무조건 이 약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 기관지 천식이나 그 병력자

- 중증 신부전 환자나 신부전 위험성이 높은 환자

- 출혈소인이 있는 환자

- 위장관 출혈이나 그와 비슷한 증상을 가진 환자

- 위궤양이나 위 천공 환자

- 코 폴립이나 혈관부종 환자

- 뇌출혈이나 그 병력자

- 중증의 심부전이나 간장애 환자

 

위와 같은 환자에도 불구하고 고령자, 고혈압 환자, 신장애 환자, 간장애 환자, 체액저류 환자, 심부전 환자, 기관지 천식환자 등은 의사의 처방을 통하여 신중히 투약 가능합니다.

 

부작용

환자마다 부작용 증상은 나타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부작용이 나타나는 증상음 모두 다를 수 있으니 아래 내용을 확인만 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의사항

매일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을 투여할 경우 위장기능 이상, 간 기능 이상이 생길 수 있으니 이 약을 투여하기 전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을 충분히 해야 합니다.

 

소염진통제의 특성상 전신발진을 동반한 식은땀, 수포, 기도 막힘 등의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보일 경우 응급상황으로 간주하여 본인 스스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결론

비마약성 진통제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의약 성분입니다. 다만 항상 위장관 부작용을 염두에 두시고 있어야 하며 반복적인 진통제 복용은 부작용 우려가 높을 수 있음을 반드시 인지하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제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글 보기

 

에페시나정 근육의 이완을 돕는다.

오늘은 테라젠이텍스에서 출시된 말초신경계 용약인 골격근이완제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전문의약품이기에 처방 없이는 구할 수도 없으며, 설령 구했다 해도 임의적인 복용을 권장하지

youndor.tistory.com

 

용각산쿨 - 가래를 방치할 이유가 없다.

예전에 은색 알루미늄 통에 들어 있는 하얀 가루약을 본 사람들이 있나 모르겠으나 가래나 목이 답답하고 간질 거리면 용각산이란 가루를 아버지께서 입에 전용 스푼으로 털어 넣어 주던 기억

youndor.tistory.com

 

타이레놀콜드에스정 꼭 확인해야 할 부작용

오늘은 정말 흔하게 구할 수 있는 의약품인 타이레놀 콜드에스정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쉽게 구할 수 있다고 해서 우습게 볼 약은 아니다. 이 약은 부작용은 생각보다 위험할 수 있기 때문

youndor.tistory.com

 

바스포연고 약국에서 판매하는 모낭염치료제

오늘은 약국에서 많이 구매를 하는 바스포연고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아미 피부 관련 연고로는 에스로반이나 비판텐, 리도멕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집에 꼭 있는 연고 중 하나일 것이다.

youndor.tistory.com

 

노르믹스정 장애 이상증상 개선 항생제

과민성장 증후군은 특별한 원인이 없다. 배변습관의 변화, 잦은 복통, 속의 거북한 불편함 등의 특징을 가진 기능성 위장관 이상 질환인데 엑스레이 촬영을 해봐도 어떠한 원인이 될만한 증상이

youndor.tistory.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