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증 재발급 집에서 가능?
보건증은 식품관련 업무에 종사하시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서류 입니다. 분명 얼마전에 보건증을 받아 놓았는데 취업하기 위해 찾아보니 없어서 재발급을 받기 위해 검색을 해 보다가 제 글까지 오셨을 것 입니다.
보건증의 현재 정확한 명칭은 건강진단결과서로 변경되었습니다. 보건소에 가면 건강진단결과서 발급 비용은 4천 밖에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난 코로나로 인하여 전 보건소가 선별진료소로 이용되다 보니 보건소 발급이 어려워 지정된 병원을 이용하여 저려하게는 몇천원 부터 몇만원의 비용을 지불하고 울며 겨자 먹기로 발급을 받아 왔습니다.
보건증 발급 기준 검사
아래의 3가지 검사를 통하여 전염성 질환이 있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다만 장티푸스 검사 방법이 면봉을 이용한 항문 검사를 하기에 좀 치욕적일 수 있으나 최근에는 혈액검사로 대체하는 곳이 많으니 확인후 방문하면 좋습니다.
- 엑스레이 촬영을 통한 폐결핵 여부 검사
- 혈액이나 항문검사를 통한 장티푸스 여부 검사
- 눈으로 확인하는 전염성 피부질환 여부 검사
보건소에서 위와 같은 검사를 하면 보통 일주일안에 건강진단결과서 수령이 가능합니다. 직접 방문할 경우 신분증 지참하여 보건소 방문하시면 됩니다.
집에서 온라인 발급을 하는 경우 [공공보건포털] 접속을 한 이후에 [온라인 민원 서비스] 선택 후 [제증명 발급]을 누르면 건강진단결과서 출력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공공보건보털 이외에 정부24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건강보건보털 바로가기
참고로 온라인을 통하여 보건증 발급과 재발급 발급 절차는 아래 설명서를 통하여 그대로 따라하시면 집에서 어렵지 않게 발급 가능합니다. 보건증을 받지 않을 경우 납부해야 하는 벌금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보건증재발급 지금 바로 확인!(벌금기준, 보건증 항문검사)
보건증 재발급 보건증은 식품 위생과 관련된 곳에서 근무를 하기 위해선 반드시 필요한 서류입니다.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49조에서 건강진단 대상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식품, 식품첨가물 채
gaomansasung.tistory.com
이렇게 보건증을 발급 받았다면 잃어 버렸다고 해도 다시 건강보건포털에 다시 접속하여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유효 기간은 발급일로 부터 1년 이기에 1년마다 매년 건강진단 3가지을 받아서 새로운 건강진단결과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만약 보건증 발급이 3~5일 정도에 발급 받는 것이 너무 더디다고 생각할 만큼 급하신 경우 일반 지정된 병원에서 하루만에 발급이 가능한 병원이 있다는 점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보건증 발급이 가능한 병원을 지역별 몇군데 첨부를 해 드릴테니 필요한 분들에게는 좋은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제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보건증발급병원/이천시 확인
현재 코로나 19 때문에 전국의 대부분 보건소에서 일반 업무인 보건증 업무가 중단된 상태다. 그래서 각 지자체에서 지정해 놓은 일반병원에 가서 보건증 발급을 받아야 하는데 가격이 제각각이
mindor.tistory.com
보건증발급병원 (성남시확인)
코로나로 인하여 각 보건소와 보건지소는 선별진료소로 대부분 운영되고 있기에 인력도 부족하고 일반 업무인 보건증 발급 업무를 볼 수가 없다. 지정된 병원에서 보건증 발급이 가능하기에
mindor.tistory.com
[거제시] - 보건증발급병원 (9월 가격]
보건증이 왜 필요하냐고 물으신다면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49조를 보면 식품업 관련 종사분들이 받아야 하는 건강진단결과서를 의미하는데 의무다. 업주와 종업원이 다 받아야 하며 그렇지 않을
mindor.tistory.com
보건증발급병원[울산] 가장싼곳!
현재 코로나 19로 인하여 보건소에서 담당했던 보건증 업무를 지정된 병원으로 이관하여 발급 가능합니다. 금액이 보건소 대비 비싼 것은 사실이지만 보건증이 필수한 직종에 근무하는 분들에
mindor.tistory.com